1.45.2100 버전에서는 모든 개체들에 대한 반전(Inversion) 기능이 제공됩니다. 기존에는 X,Y 축에 대한 반전을 위해 행렬 스택의 값을 직접 코딩을 통해 수행해야 했고, 이 경우 전체 데이타에 대한 반전만이 가능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개별 개체를 선택하고 비율(Model Scale)에 대한 행렬값을 음수값으로 설정하여 데이타를 반전 하는 기능이 제공됩니다.


또한 기존 처럼 기저 행렬(Base matrix)값을 코딩을 통해서가 아닌, 아래와 같이 사용자가 런타임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만약 개체 내부에 해치(Hatch) 가 적용된 상태라면, 이 역시 반전이 적용됩니다.

아래와 같이 X,Y 축에 대한 반전 및 각 축에 대한 회전을 적용한 예제입니다. 이를 보면 좌표값이 Z 축으로 확장되었을 뿐 아니라 내부 해치 경로 역시 회전 및 반전 처리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주의할 것은 일부 경로 데이타의 경우 해치(Hatch) 적용에 적합한 회전(Winding) 방향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 과 같은 폐곡선에 대해 해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O’ 의 외부 경로는 시계 방향, 내부 경로는 반 시계 반향 경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만약 이 회전이 정상적이지 않으면, 폐곡선의 내, 외부 판단에 실패하여 아래와 같이 비정상적인 해치가 적용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회전 방향을 변경할 폐곡선을 선택하고 경로 반전(Reverse Path)을 수행한 후 해치를 다시 적용해 주면, 정상적인 해치 경로가 생성됩니다.

또한 스캐너에 대한 조그(Jog)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조그 화면을 띄우고 마우스 클릭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며, CTRL, ALT, SHIFT 키와 방향 키 조합을 통해 1, 0.1, 0.01 mm 단위 만큼의 이동도 역시 제공됩니다. (추후 소개할 예정인 스캐너에 내장된 동축 비전 기능을 위해 제공됩니다.)
